파이썬에서는 다섯 가지의 자료형이 존재한다.
- string
쌍 따옴표(") 혹은 따옴표(')로 묶여진 자료형은 string. 문자열이다.
- int
int는 정수이다.
- float
float는 소수이다.
- boolean
boolean은 참, 거짓을 나타내는 자료형이다.
파이썬에서는 True, False 형태로 사용하며, 첫 문자는 대문자이다.
- None
None은 존재하지 않음. 즉, Null과 같다고 볼 수 있다.
- type() 함수
변수의 자료형을 출력하는 함수는 type 함수이다.
C언어에서의 typeof() 함수와 같이 type(variable)을 입력하면 변수의 자료형을 출력할 수 있다.
코딩 컨벤션 중 하나인 네이밍 컨벤션(Naming Convention)이란,
프로그래밍에서 파일, 변수, 함수 등 대상의 이름을 띄어쓰기 없이 짓기 위하여 따르는 관례
https://en.wikipedia.org/wiki/Naming_convention_(programming)
코딩 컨벤션은 다음에 작성하기로 하고 파이썬에서의 네이밍 컨벤션을 살펴보자.
- camel case (낙타대문자)
camel case는 낙타의 혹이 표기법의 대문자와 비슷하다고 하여 이름붙여졌다.
각 어절마다 대문자로 끊는 것을 camel case(낙타대문자)라고 한다. 첫 문자는 소문자인 것이 특징이다.
variable = this is camel case
var in camel case = thisIsCamelCase
- snake case (뱀 표기법)
snake case는 뱀이 기어가는 것처럼 변수를 표현한다고 하여 이름 붙여졌다.
variable = this is snake case
var in snake case = this_is_snake_case
기본적으로 파이썬에서는 snake case를 사용한다.
'CS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파이썬] 이중 리스트 초기화 방법 (0) | 2021.08.18 |
---|---|
[파이썬] String Formatting (f-string) (0) | 2021.08.16 |
[파이썬] 값에 의한 호출, 참조에 의한 호출(call by value, call by reference) (0) | 2021.07.26 |
파이썬 if __name__ == "__main__" (0) | 2021.07.02 |
파이썬의 List, Tuple, Dictionary, Set (0) | 2021.06.25 |